![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XeZXM%2FbtrIn5yRgfc%2FN8o5rKusEMvsqtk4KAWQ4K%2Fimg.png)
Hash Table
2022. 7. 28. 23:22
자료구조
Hash Table 해시 테이블은 Key, Value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 중 하나로 빠르게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해시 테이블에서 데이터는 각 데이터 값에 고유한 인덱스 값이 있는 배열 형식으로 저장된다. 원하는 데이터의 인덱스를 알면 데이터 접근이 빨라진다. 따라서 데이터의 크기에 관계없이 저장 및 검색 작업이 매우 빠른 데이터 구조가 된다. 해시 테이블은 배열을 저장 매체로 사용하고 해시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가 저장되고 위치할 인덱스를 생성한다. Hashing 해싱은 키 값을 배열의 인덱스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해시 테이블은 각각의 키 값에 해시함수를 적용해 배열의 고유 index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Key, Value) 값이 (Lisa Smith, 521-8976)인..
2022/07/27 TIL
2022. 7. 27. 17:09
TIL
프로젝트 멀티모듈 적용 F-lab에서 멀티모듈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프로젝트 구성을 현재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 하는 분께서 멀티 모듈을 구성했다. 나도 직접 처음부터 멀티 모듈 구성을 적용해보고 싶어서 코테 과제 속에 적용해보았고, 그 과정 속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문제의 발생 처음 모듈 구성 app(presentation) data (remote 포함) domain 모듈 의존성 app -> domain data -> domain 모듈 내부 구성 data - repositoryImpl, datasource, retrofit domain - usecase, repository interface, usecase hilt 모듈 app - activity와 viewModel 우선 처음에..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uwIYF%2FbtrIip4fUuX%2FPrqBrKK45v9vt8gX2AyvFK%2Fimg.jpg)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 실행 과정
2022. 7. 26. 17:43
안드로이드/기초
https://medium.com/android-news/android-application-launch-explained-from-zygote-to-your-activity-oncreate-8a8f036864b Android Application Launch explained: from Zygote to your Activity.onCreate() This article explains how Android launches your application when a user clicks an app icon. The Android system does a lot of heavy lifting… medium.com 본 글은 해당 글을 번역한 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있습니다. Java 프로세스의 진입점 pu..
Assisted Injection
2022. 7. 21. 21:04
안드로이드/아키텍처
Assisted Injection 안드로이드 프로젝트에서 Dagger-Hilt 종속성 주입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클래스에 종속성 객체를 주입할 때 지정된 매개변수를 자동으로 전달하여 이를 구성한다. 그러나 런타임 중에 일부 매개변수를 수동으로 제공하여 객체를 구성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Dagger-Hilt에서는 Assisted Injection 기능을 통해 이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예제를 통한 Assisted Injection 사용 방법 이해 한 사용자의 플레이리스트를 화면을 위한 UserPlayListFragment에 삽입될 UserPlayListViewModel이 있다고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이 Fragment가 화면에 표시될 때 유저의 플레이리스트 목록을 가져와 UI에 표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