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nwe8v%2FbtrI3tY7WCv%2Fq76SUguxyAWbWC1WUZrM11%2Fimg.png)
22/08/06 TIL
2022. 8. 6. 21:43
TIL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읽는 중(~84P) 추상화 어떤 양상, 세부 사항, 구조를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특정 절차나 물체를 의도적으로 생략하거나 감춤으로써 복잡도를 극복하는 방법 복잡성을 줄이기 위한 두가지 차원 1. 구체적인 사물들 간의 공통점을 취하고 차이점은 버리는 일반화를 통해 단순하게 만드는 것 2.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불필요한 세부 사항을 제거함으로써 단순하게 만드는 것 책에서는 이상한나라의앨리스 내용을 바탕으로 객체지향에 나온 여러가지 개념을 빗대어 설명하고 있다. 위의 장면은 앨리스가 하트 여왕과 조우하는 장면이고 이 속에는 여왕을 비롯한, 왕, 공주, 왕자, 기사들과, 정원사들 그리고 토끼 등 수많은 등장인물이 있다. 이때 앨리스는 하트여왕을 보며 속으로 생각한다. '기..
2022/07/27 TIL
2022. 7. 27. 17:09
TIL
프로젝트 멀티모듈 적용 F-lab에서 멀티모듈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프로젝트 구성을 현재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 하는 분께서 멀티 모듈을 구성했다. 나도 직접 처음부터 멀티 모듈 구성을 적용해보고 싶어서 코테 과제 속에 적용해보았고, 그 과정 속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문제의 발생 처음 모듈 구성 app(presentation) data (remote 포함) domain 모듈 의존성 app -> domain data -> domain 모듈 내부 구성 data - repositoryImpl, datasource, retrofit domain - usecase, repository interface, usecase hilt 모듈 app - activity와 viewModel 우선 처음에..
2022/07/17 TIL
2022. 7. 17. 23:58
TIL
RxJava로 비동기 처리 그동안 기술 공부 방법은 충분히 문서로 공부한 후에 실습을 하는 방향으로 갔었는데 실습의 타이밍이 늦어지는 걸 빈번히 경험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대략적인 개념 공부를 하고 바로 적용해보는 방식을 프로젝트에 적용해보고 있다. 단시간에 RxJava를 공부해서 프로젝트에 적용하고자 하니 이게 맞나 마음이 조급해지는 면이 있지만 틀리면 수정하면 된다는 마음으로 접근하고자 노력중이다. 우선 5가지 Observable에 대해 매우 간략히 정리 해보았다. Observable - 가장 기본이 되는 Observable Flowable - Observable + Backpressure(발행 속도와 구독 속도의 조절) Single - 데이터를 한 번 발행하고 종료 Completable - 별도로 ..
2022/07/15 TIL
2022. 7. 15. 21:09
TIL
출근길에 운영체제 원리 강의 복습을 했다. 출퇴근 길 합쳐서 한 강 다 들을 수 있었는데 나름 집중이 잘 되었다. 에프랩 프로젝트 진행이 더디게 느껴진다. 클린코드의 길은 멀고도 험한 것 같다 달빅과 안드로이드 런타임에 대해 정리 중에 있다. 막연히 jvm에서 돌아가겠지 생각하고 있었는데 안드로이드 개발 3년만에 알게 되어 좀 부끄럽다. 이력서를 넣기 시작했다. 개발문화가 잘 조성되어 있는 곳으로 가고 싶다. 화이팅 하자